김제시

새만금 김제시대

새만금 어원

  • 대한민국에서 가장 넓고 비옥한 호남평야는 김제평야의 ‘금’(金)자와 만경평야의 ‘만’(萬)자를 합쳐 금만평야라고 불렀다. 금만이 새만금이 된 것은 1986년경의 일이다. 금만을 만금으로 바꾸고 새로운 땅이 생긴다고 하여 만금 앞에 새롭다는 뜻의 ‘새’를 덧붙여 새만금으로 불렀다. ‘새로운 만금의 땅’이라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또 ‘옥토를 새로이 일구겠다’는 뜻도 담겨 있으니, 여러 모로 기분 좋은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 새만금이라는 지역명이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1987년 7월 정부가 ‘새만금 간척 종합개발사’을 발표하면서부터이다. 당시 정부는 대선을 앞둔 시점에 단군이래 최대규모의 간척사업을 공약으로 내놓았다. 이때부터 새만금은 수많은 우여곡절의 주인공이 된다. 1991년 방조제 착공 이후 몇년간 순조롭게 진행되던 새만금사업은 1995년 환경담론이 본격화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이후 10여 년간 환경단체와 종교계, 그리고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한 시위와 소송 등에 휘말리며 ‘세계 최대규모의 간척사업’에서 우리 사회갈등의 대명사로 전락하게 된다. 그러나 2006년 대법원 승소판결을 받으면서 10여 년간 이어져온 지리멸렬한 법정 공방을 마감하고, 무려 20년간의 대역사를 통해 32.5km의 네덜란드 쥬다찌(Zuiderzee)방조제 보다 더 긴 33.9km에 달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를 2010년 4월에 준공함으로써 2010년 8월 2일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지금은 그 간의 모든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고 녹색성장 시범지역으로서 가장 환경친화적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새만금 개발 역사

새만금사업 초기 구상안(1991)
  • 100% 농수산중심개발
  • 농업·식량생산기지 조성
새만금사업 초기 구상안(1991)
'07. 4. 토지이용구상안
  • 복합개발구상
  • 농업용지 : 비농업용지 = 72 : 28
07. 4. 토지이용구상안
'08. 10. 토지이용구상 변경(안)
  • 다기능 융복합기지 조성
  • 농업용지 : 비농업용지 = 30 : 70
08. 10. 토지이용구상 변경(안)
'10. 1. 내부개발 기본구상
  • 명품복합도시 개발구상
  • 새로운 문명을 여는 도시, 동북아경제중심지 조성
10. 1. 내부개발 기본구상
'11. 3. 새만금 종합개발계획
  • 창조적 녹색․수변도시 구현
  • 용도별 토지이용계획과 기반시설계획 등 구체화
11. 3. 새만금 종합개발계획
'14. 9. 새만금 기본계획(수정)
  • 투자활성화를 위한 수요자 맞춤형 열린 계획으로 변경
  • 글로벌 경제협력 거점 육성을 위한 경제협력특구 도입
14. 9. 새만금 기본계획(수정)
′21. 2. 24. : 새만금 기본계획 변경
  • 탄소중립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녹색성장 중심지 구현
  • 그린기술 및 경제거점 육성을 위한 단계별 개발계획 수립 및 사업추진 구체화
14. 9. 새만금 기본계획(수정)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콘텐츠 담당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