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시가족센터 현황
기본현황
운영기관명 | 센터장 | 개소일 | 소재지 |
---|---|---|---|
(사)글로벌투게더김제 | 장덕상 | 2007.01. | 김제시 하동1길 121번지 |
시설규모
- 대지면적 4,916㎡, 연면적 1,469.53㎡, 지상2층
직원현황
계 | 상 근(27) | 비 상 근(71) | |||||||||||
---|---|---|---|---|---|---|---|---|---|---|---|---|---|
센터운영 | 특성화 | 방 문 지도사 |
배움 보듬이 |
아이 돌보미 |
|||||||||
센터장 | 사무 국장 |
통합 운영 |
도비 인력 |
마을 학당 |
통 번역사 |
언어 발달 지도사 |
이중 언어 코치 |
공동 육아 나눔터 |
아이 돌봄 지원 |
||||
98 | 1 | 1 | 13 | 1 | 1 | 3 | 2 | 1 | 1 | 3 | 9 | 9 | 56 |
외국인주민 현황(행안부_2023.11.1.)
(단위:명)
구 분 | 합계 (5.0%) |
힌국 국적 미취득자 | 한국 국적 취득자 |
외국인 주민 자녀 |
|||||
---|---|---|---|---|---|---|---|---|---|
소계 | 외국인 근로자 |
결 혼 이민자 |
유학생 | 외국국적 동 포 |
기 타 외국인 |
||||
김제시 총 인구 (78,277) |
3,910 (남)2,261 (여)1,649 |
2,611 (남)1,795 (여)816 |
1,330 (남)1,213 (여)117 |
312 (남)33 (여)279 |
11 (남)5 (여)6 |
98 (남)55 (여)43 |
860 (남)489 (여)371 |
424 (남)20 (여)404 |
875 (남)446 (여)429 |
한국국적 미취득자 외국인주민 현황(국적별)(행안부_2023.11.1.)
(단위:명)
국적 성별 |
계 | 태국 | 베트남 | 네팔 | 캄보디아 | 필리핀 | 중국 (한국계) |
우즈베키스탄 | 스리랑카 | 중국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인도네시아 | 몽골 | 일본 | 기타 |
---|---|---|---|---|---|---|---|---|---|---|---|---|---|---|---|---|
계 | 3,413 | 694 | 610 | 427 | 310 | 218 | 139 | 176 | 163 | 124 | 117 | 139 | 80 | 55 | 27 | 134 |
남 | 2,396 | 419 | 364 | 388 | 207 | 125 | 75 | 162 | 154 | 53 | 116 | 130 | 74 | 43 | 3 | 83 |
여 | 1,017 | 275 | 246 | 39 | 103 | 93 | 64 | 14 | 9 | 71 | 1 | 9 | 6 | 12 | 24 | 51 |
결혼이민자 현황(행안부_2023.11.1.)
국적 성별 |
계 | 베트남 | 필리핀 | 중국 | 중 국 (한국계) |
캄보 디아 |
일본 | 태국 | 라오스 | 기타 |
---|---|---|---|---|---|---|---|---|---|---|
계 | 784 | 323 | 136 | 90 | 81 | 58 | 26 | 12 | 7 | 51 |
남 | 62 | 21 | 9 | 4 | 10 | 7 | 2 | 0 | 0 | 9 |
여 | 722 | 302 | 127 | 86 | 71 | 51 | 24 | 12 | 7 | 42 |
다문화가족 자녀 현황(행안부_2023.11.1.)
계 | 만0~6세 (미취학아동) |
만7~12세 (초등) |
만13~15세 (중등) |
만16세~18세 (고등) |
---|---|---|---|---|
895 (국내출생:남455/여440) |
266 | 332 | 184 | 113 |
가족지원 사업 안내
가족관계사업
가족구성원의 역량강화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지원
- 부모역할지원(임신출산부모, 영유아기부모, 학부모, 아버지‧어머니역할)
- 부부역할지원(결혼준비, 부부갈등, 노년기부부)
- 다문화가족 관계향상지원(시부모모임, 부-자녀‧모-자녀관계향상)
- 이중언어 교육지원(부모‧가족코칭, 활용‧상호작용프로그램, 언어교실)
- 다문화가족 자녀성장지원(자녀태권도)
- 꿈디자이너사업
가족돌봄사업
가족유형 특성에 따른 맞춤형 가족기능강화
- 온가족보듬사업(개인‧가족상담, 다문화사례관리, 교육‧문화프로그램, 자조모임, 긴급위기지원)
- 아이돌봄지원사업
-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사업
- 다문화가족 자녀 언어발달지원사업
가족생활사업
가족 특성에 따른 맞춤형 가족생활프로그램
- 맞벌이가정 일·가정 양립지원(맞벌이가정 방학학교, 워킹맘‧워킹대디 문화활동)
- 다문화가족 정착지원(한국어교육, 결혼이민자 학력지원‧직업훈련교육‧취업지원)
- 다문화가족 자녀지원사업(기초학습, 진로설계, 교육활동비)
- 결혼이민자 통·번역서비스사업
- 사회통합프로그램
지역공동체사업
가족과 지역사회연계프로그램 운영
- 가족봉사단
- 공동육아나눔터 운영(가족품앗이)
- 다문화가족 교류소통공간 운영
- 가족사랑의 날
- 결혼이민자 정착단계별 지원 패키기
- 인식개선 및 공동체의식(다문화이해교육, 어울림장터, 다문화한마당, 다문화송년회, 한국어‧자녀학당)
- 가족친화문화프로그램
- 다함께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