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현황
김제위치 및 고속도로, KTX고속철도 경로안내 지도로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있음
김제
호남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 고속도로
- KTX고속철도
위치와 자연환경
- 시청소재지 : 김제시 중앙로 40 (서암동 353)
- 극동 : 금산면 금산리(동경127°05’ 북위35°43’)
- 극서 : 진봉면 심포리(동경126°28’ 북위35°48’)
- 극남 : 금산면 금성리(동경127°02’ 북위35°39’)
- 극북 : 청하면 동지산리 (동경126°50’ 북위35°55’)
- 교통 : 호남고속도로,호남선 (부용, 와룡, 김제역)
- 연장 : 동서54.9㎞ 남북33.38㎞
- 지세 : 동남쪽이 높고 서북쪽이 낮음
- 산 : 모악산(793.5m),상두산(573.3m) 구성산(487.6m)
- 강 : 만경강, 동진강
교통
서해안고속도로
- 인천 ↔ 서김제 IC : 2시간 30분 소요
- 목포 ↔ 서김제 IC : 1시간 10분 소요
호남고속도로
- 서울 ↔ 서전주 IC : 3시간 30분 소요
- 광주 ↔ 금산사 IC : 1시간 20분 소요
KTX 고속철도
- 김제역 ↔ 용산역 : 06:58, 17:48
- 용산역 ↔ 김제역 : 09:43, 17:09
지역별 성장거점 현황
- 동 모악산 명산 만들기
(금산사) - 서 새만금 사업 인프라 중추지역
- 남 농경문화 산실
(벽골제, 국립청소년수련원) - 북 최첨단 산업벨트
(산업단지, 자유무역지역)
기후
- 기후평년값 : 김제의 연 평균기온은 13.3℃이며, 연교차는 27.0℃이다. 가장 더운 8월 평균최고기온은 31.4℃이고, 가장 추운 1월 평균최저기온은 –4.5℃이다. 연 강수량은 1089.9㎜이고 여름철(6~8월) 강수량은 605.1㎜로 약 55%를 차지한다. 연 평균풍속은 2.2㎧이며, 월별 평균풍속은 3~4월에 2.6㎧로 가장 높다.
- 김제의 대표 기상관측장비는 ‘김제시 서암동 산 21-1’에 위치
- 면적 : 545.02k㎡ (전북도의 6.7%)
- 김제 기후평년값*(1997~2020년) ※ 김제시는 1997년부터 기상데이터를 보유함
연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기온(℃) | 13.3 | -0.4 | 1.7 | 6.1 | 12.2 | 18.1 | 22.4 | 26.0 | 26.6 | 21.7 | 15.3 | 8.6 | 1.8 |
강수량(㎜) | 1089.9 | 23.1 | 29.9 | 40.6 | 69.9 | 78.1 | 117.4 | 246.8 | 240.9 | 115.7 | 52.4 | 45.8 | 29.3 |
* 기후평년값: ‘0’으로 끝나는 해의 최근 30년간의 누년평균값 [출처: 전주기상지청]
일반현황
김제시 행정구역
- 인구 : 80,979명(43,926세대) * 2025. 1월 말 현재
- 면적 : 545.02k㎡ (전북도의 6.7%)
- 행정구역 : 1읍 14면 4동(151리·동, 770마을, 1,561반)
- 행정조직 : 4국 25실과 2직속기관 3사업소 19읍면동
- 의회 : 13명(지역 11, 비례 2), 상임위 3개
- 기반시설
- 도로포장 : 1,266.49km (포장률 88.06%)
- 상수도 : 보급률 99.5%, 관로 1,574km
- 하수도 : 보급률 68.3%, 관로 617km
- 산업단지 : 9개 4,844k㎡ (산업단지2, 농공단지7)
- 하천관리 : 62개소 236.44k㎡ (국가 3, 지방 11, 소하천 48)
- 도시공원 : 17개소 0.725k㎡ (근린 6, 어린이 9, 소공원 1, 체육 1)
- 자매·우호협력도시
- 자매결연 : 국내 - 경북 구미시, 강원 동해시, 서울 은평구, 전남 완도군, 경기 안산시, 충북 음성군 / 국외 - 일본 기쿠치시, 중국 남통시
- 우호협력 : 국내 - 부산 영도구, 서울 관악구, 원광대학교 / 국외 - 일본 오사카사야마시, 인도네시아 바탐시, 베트남 화빈성
- 지역특성
- 새만금의 중심, 혁신도시에 인접한 국가균형발전의 최적지
- 대한민국 대표 곡창지대인 생명의 땅, 한민족의 곡간이자 식량안보지역
- 전북권 T자형 개발축의 중심, 광역 교통망을 갖춘 교통·물류 중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