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실리 (加實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진봉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가실리(加實里)는 조선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마을로 당시에는 큰동네·서당넘·달동네·새터 등으로 불렸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만경군 상서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정서리·정동리·부동·석교리 각 일부, 남이면 모산리·나시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가실리라 하고 김제군 진봉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진봉면 가실리가 되었다.
공덕리 (孔德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공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마을에 있는 공덕저수지에서 이름을 따서 공덕리(孔德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만경군 동이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명마리·광동·송산리·존걸리·신흥리 일부, 동일도면 남당리·마현리 일부를 병합하여 공덕리라 하고 김제군 공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가 되었다.
구암리 (龜岩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마을에 거북바위가 있어 거북 또는 구암(龜岩)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개토면에 속했던 지역이다. 인근에서 가장 높은 사창산(社倉山)[57m] 북쪽 아래에 있는 마을로 개토면 시절에는 거복리(巨伏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명당리·신평리·중평리·구평리 일부를 병합하여 구암리(龜岩里)라 하고 김제군 용지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가 되었다.
내촌 (內村)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죽산면 홍산리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1040년경 마을이 처음 형성될 당시 비홍락지(飛鴻洛地)라는 명당이 있어 홍산촌(鴻山村)이라 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마을에 살던 박씨 문중의 한 장수가 전쟁터에서 전사한 뒤 그의 말과 안장 그리고 칼만 돌아왔는데, 그 말이 죽은 뒤에 묻었다는 말뫼동산, 기러기가 날아가다 쉬어 간다는 홍지뫼[鴻止山], 화초산(花草山) 줄기로 둘러싸여 있다 하여 내리(內里)라고 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변경 당시 내촌(內村)이 되었다.
만석동 (萬石洞)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양전동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만석동은 벼 만석을 거두어들일 만큼 큰 부자가 나올 좋은 터라는 풍수지리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망석산(網石山)[37m, 되뫼산]이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망석동이 만석동으로 변음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만석꾼이 나오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이 김제와 연결되는 지방도 714호선을 개설하면서 마을 북쪽 능선을 잘라버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형성 및 변천
1914년 이전에는 금구군 남면 만복리였는데, 1914년 김제군 하리면 양전리가 되었고, 1935년 하리면과 초처면이 통합되어 봉남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김제군 봉남면 양전리가 되었다. 1990년 봉남면 양전리가 김제시로 편입되면서 김제시 봉황동에 속하게 되었다. 1998년 신풍동과 봉황동이 통합되면서 신풍동의 법정동인 양전동에 속하게 되었다.
몽산 (夢山)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만경읍 몽산리에 있는 산.
명칭유래
몽산(夢山)은 어떤 도인이 꿈을 꾸고 나서 보니 산이 생겼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산 아래 마을이 소가 누워 있는 모습이라 하여 우몽산(牛夢山)이라고도 한다.
몽산리 (夢山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만경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몽산(夢山) 밑에 있는 마을이므로 몽산리(夢山里)라 하였다.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원래는 산이 없었는데 어떤 도인이 꿈을 꾸고 깨어나니 산이 생겨서 몽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마을 지형이 소가 누워 꿈을 꾸는 모습이어서 우몽산(牛夢山)이라 부르던 것이 줄어서 몽산이 되었다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만경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몽산리·몽서리·몽동리·장흥리·화양리·옥산리, 군내면 송전리·산본리 일부를 병합하여 김제군 만경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만경면에 속하였고, 동년 3월 2일 만경면이 읍으로 승격됨에 따라 김제시 만경읍 몽산리가 되었다.
묘라리 (妙羅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성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300여 년 전 풍수지리에 밝은 지관 두사총이 마을 모양이 풍취라대(風吹羅帶)의 형국이라고 한 데서 묘라리(妙羅里)라 하였다.
배재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와 완주군 구이면 안덕리를 연결하는 고개.
명칭유래
김제 청룡사(靑龍寺)에서 완주군 구이면 배재울과 탑선을 넘어가는 배재는 옛적에 배가 넘어 다녔다는 전설 때문에 배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백학동 (白鶴洞)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유래
백학(白鶴)은 백로가 밭에 내려앉는 형국인 백로하전혈(白鷺下田穴)의 산이 마을들을 감싸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1914년 이전에는 김제군 입천면 백학리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포내리, 선정리, 대덕리, 진관리, 용곳리, 대리와 금구군 일북면 난봉리, 이북면 두월리·홍천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김제면 백학리가 되었다. 1931년 김제면이 읍으로 승격됨에 따라 김제읍 백학리가 되었으며, 1989년 김제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백학동이 되어 김제시 검산동 소속 법정동이 되었다.
봉의리 (鳳儀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봉의산 밑에 있는 마을이므로 봉의리(鳳儀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개토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사산리·신사리·영동리 일부, 목연면 월전리 일부를 병합하여 봉의리라 하고 김제군 용지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용지면 봉의리가 되었다.
부용리 (芙蓉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백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부용리(芙蓉里)라는 지명은 이 지역이 연꽃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유래된 이름으로 여겨진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목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외가전리·내가전리, 공동면 반월리 일부를 병합하여 부용리라 하고 김제군 백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백구면 부용리가 되었다.
삼봉리 (三鳳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봉곡리·봉의리·봉암리 3개 마을의 ‘봉(鳳)’자를 따서 삼봉리(三鳳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금구군 수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봉곡리·봉의리·봉암리·계암리 일부, 남면 송정리·유산리 각 일부를 병합하여 삼봉리라 하고 김제군 수류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수류면을 금산면으로 개칭함에 따라 김제군 금산면 삼봉리가 되었고,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에 속하게 되었다.
서정동 (西亭洞)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유래
하서면의 ‘서(西)’자와 석정마을의 ‘정(亭)’자를 따서 서정(西亭)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1914년 이전에는 금구군 하서면[오정리, 월성리, 서정리]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금구면 하서면과 남면이 통합되어 하리면이 되면서 하서면 회정리, 중리, 수월리, 성리, 우산리를 병합하여 서정리라 하였다. 1935년 하리면과 초처면을 통합하여 봉남면으로 개칭함에 따라 김제군 봉남면 서정리가 되었다. 1990년 봉남면이 김제시에 편입됨에 따라 서정동이 되어 김제시 봉황동 소속의 법정동이 되었다. 1998년 봉황동이 신풍동으로 통폐합됨에 따라 신풍동 소속의 법정동이 되었다.
선암리 (仙岩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구성산(九城山)[487.6m]에서 흘러내린 급류에 영천마을이 수해를 입자 물의 흐름을 느리게 하려고 냇가에 바위를 세운 뒤로 선바우 또는 선암이라 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뜻이 전혀 다른 선암(仙岩)으로 바뀌었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금구군 동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영천리와 전주군 우림면 축령리를 병합하여 선암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가 되었다.
성산 (城山)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산.
명칭유래
백제 때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토성과 석성이 있어 성산(城山)으로 불린다. 성산(城山)은 『한국지명총람』에는 ‘삼국통일 전쟁 때 당나라 원병이 백제와 싸우기 위해 토성을 쌓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성산은 서해안에 가까이 있어 해적의 침입을 방어하기에 좋은 요새지였다고 한다. 『김제읍지(金堤邑誌)』에는 동헌을 중심으로 성산을 비롯한 교동, 옥산동, 요촌동, 서암동 등을 포함시켜 성의 길이가 2,820척, 높이 20척, 옹성이 네 개, 샘이 6개가 있었으며 고종 때 이르러 완전히 허물어져 증축하지 못했다고 한다. 『일본서기(日本書記)』에는 김제의 백제 때 이름이 백성들이 적의 공격을 피해 피난했던 피지산(避支山) 또는 피성(避城)으로 쓰였고 피성은 백제 부흥군의 근거지였다고 한다. 백제가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게 멸망했을 때 백제의 충신 복신(福信) 장군이 일본에 가 있던 왕자 풍장(豐璋)을 모셔와 왕으로 삼고 백제 유민을 모아 백제부흥운동을 벌이며 주류성(周留城)에서 항전했던 곳이다.
소토리 (小土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만경읍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소토리와 이웃한 화포리의 토정이나 대동리보다 작은 마을이라는 뜻에서 소토리(小土里)라 하였다. 입석산(立石山)[61.7m] 밑에 있어 돌이 많기 때문에 돌설메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만경군 북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흥리·율리·춘천리·대토리·장흥리·창자리 각 일부, 북일면 공향리 일부, 김제군 마천면 신창리 일부를 병합하여 소토리라 하고 김제군 만경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만경면에 속하였고, 동년 3월 2일 만경면이 읍으로 승격됨에 따라 김제시 만경읍 소토리가 되었다.
수교 (水橋)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죽산면 종신리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수교(水橋)는 약 130년 전까지만 해도 신평천(新坪川)이 서해로 유입되는 하구의 나루터였다. 이곳에 사람들이 모여 마을을 이루면서 벼농사에 필요한 물을 대고자 소나무로 일종의 보(洑)를 만들어 물을 가두었는데, 이 보가 장마 때에는 무너미[봇물을 대기 위해 도랑을 걸쳐 막은 부분]가 되고, 평소에는 다리가 되었으므로 수교라고 하였다.
형성 및 변천
130여 년 전만 하더라도 마을 어귀까지 바닷물이 드나들던 나루터로 육로가 없이 뱃길로만 통행이 가능하던 길목이었다. 포구에 고깃배와 젓갈배가 드나들면서 강씨, 국씨, 전씨 등 10여 가구가 정착하여 마을을 이루기 시작하였다. 이 무렵 마을 사람들은 신평천[백산저수지에서 발원]을 가로막는 보를 만들어 벼농사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였다. 그러나 계절에 따른 가뭄과 홍수 등으로 제 구실을 못하다가, 일제강점기에 현대식 공법으로 수문 겸 다리를 놓아 농경지가 정리되면서 사람들이 모여들어 40여 가구의 마을로 성장하였다.
순동 (蓴洞)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유래
마을의 방죽인 소못[소매방죽, 금이제]에 순채가 많이 있어 순동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원래 김제군 입천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리(大里)·진관리(鎭管里)·대검리(大劍里) 일부를 병합하여 순동리라 하고 김제면에 편입되었다. 1931년 김제면이 읍으로 승격됨에 따라 김제읍 순동리가 되었고, 1989년 김제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김제시 순동이 되었다. 1998년 행정동인 검산동 소속 법정동이 되었다.
신용리 (新用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부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신기리의 ‘신’자와 용골리의 ‘용’자를 따서 신용리(新用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부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골리·신기리·방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신용리라 하고 김제군 부량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가 되었다.
신털미산 (신털미山)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신덕동과 부량면 신용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유래
벽골제(碧骨堤)는 백제시대 330년(비류왕 27)에 축조되었고, 몇 차례 보수공사가 있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1415년(태종 15)에 벽골제를 대대적으로 보수하기 전 신털미산 일대는 나무 몇 그루만 서 있던 평평한 벌판이었다. 벽골제 보수를 위해 전국 방방곡곡에 영을 내려 백성들을 동원하였는데, 그 인부들이 신털미산에서 쉬면서 하루만 신어도 헤어지는 짚신을 버리거나, 짚신에 엉겨 붙은 흙을 떨다보니 그 흙이 티끌모아 태산이 되듯 작은 산이 되었다고 한다. 인부들이 쉬면서 흙을 털고 헤어진 짚신을 버려서 이루어진 산이라 하여 신털미산 또는 초혜산(草鞋山)이라는 전설이 전한다.
쌍용리 (雙龍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계리와 용흥리 2개 마을의 ‘용(龍)’자를 따서 쌍용리(雙龍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금구군 수류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계리와 용흥리 일부를 병합하여 쌍용리라 하고 김제군 수류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수류면이 금산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김제군 금산면 쌍용리가 되었고,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에 속하게 되었다.
여꾸다리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마을 주위에 여뀌[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잎이나 줄기에 털이 없으며, 매운맛으로 향신료나 약재로 쓰임]가 무성하고 마을 앞에 냇물을 건너는 다리가 있어 여뀌 ‘요(蓼)’, 다리 ‘교(橋)’자를 써서 요교(蓼橋)라고 부르던 것을 우리말로 풀어 ‘여꾸다리’가 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지형은 물이 동쪽에서 서쪽,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것이 특징인데, 이곳은 물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역수하므로 ‘역수다리’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변하여 요교가 되었다고도 한다.또 옛날에 마을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을 뿐만 아니라 집도 몇 채 되지 않아 부정한 일들이 많이 발생하여 요사스러울 ‘요(妖)’자와 마을 ‘촌(村)’자를 써서 요촌이라 불렀는데, 대유학자인 이석정(李石亭)이 살게 되면서 마을 이름을 여꾸다리로 바꾸었다고도 한다.
여수해 (麗水海)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용동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옛날 밀물과 썰물이 드나들던 포구였는데 바닷물이 빠지고 갯벌이 드러나면 포구의 모양이 여우의 생김새와 같아서 여시개라고 부르던 것이 변하여 여수해(麗水海)가 되었다는 설이 전한다. 또 마을 뒤를 감싸고 있는 산의 형국이 마치 여우와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입천(立川)·선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고려 예종 말에 나석(羅碩)이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연정동 (蓮井洞)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연지마을의 ‘연’자와 냉정마을의 ‘정’자를 따서 연정(蓮井)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원래 김제군 대촌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 월산면과 대촌면을 병합하여 월촌면이 됨에 따라 월촌면 연정리[대촌면의 신월·여초·월봉, 경제, 죽산면의 소산·진가, 반산면의 신흥, 월산면의 신원을 병합]가 되었다. 1989년 김제읍이 김제시로 승격하면서 월촌면이 월촌동이 됨에 따라 월천동 관할 법정동인 연정동이 되었고, 1998년 교동과 월촌동이 병합되어 교동월천동 관할이 되었다.
오봉리 (五鳳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오양리의 ‘오’자와 지봉리의 ‘봉’자를 따서 오봉리(五鳳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동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양리·지봉리·목련리 일부를 병합하여 오봉리라 하고 김제군 금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가 되었다.
옥정리 (玉亭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부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옥동리의 ‘옥’자와 신정리의 ‘정’자를 따서 옥정리(玉亭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부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옥동리·신정리·사정리·대장리·전포리 각 일부, 홍산면 상포리 일부, 태인군 용산면 고잔리·군포리 각 일부, 고부군 백산면 주소리 일부를 병합하여 옥정리라 하고 김제군 부량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부량면 옥정리가 되었다.
와룡리 (臥龍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마을 뒷산이 마치 누워 있는 용이 망망대해를 바라보는 것과 같은 와룡망해(臥龍望海) 형국이어서 와룡리(臥龍里)라 하였다. 한편, 용 두 마리가 싸움을 벌이다 한 마리가 지쳐 쓰러져 죽어서 산을 이루었는데, 이곳에 살던 사람들이 그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마을 이름을 와룡이라 하였다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모촌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화룡리와 수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와룡리라 하고 김제군 용지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용지면 와룡리가 되었다.
용산리 (龍山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반리의 ‘용’자와 유산리의 ‘산’자를 따서 용산리(龍山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금구군 남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반리·유산리·등룡리 각 일부, 서도면 용정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산리라 하고 김제군 하리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용산리를 금산면에 편입함에 따라 김제군 금산면 용산리가 되었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에 속하게 되었다.
용암리 (龍岩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용지리의 ‘용’자와 월암리의 ‘암’자를 따서 용암리(龍岩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모촌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와리·월암리·용지리 일부를 병합하여 용암리라 하고 김제군 용지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용지면 용암리가 되었다.
원거리 (院巨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여관을 비롯하여 여인숙·주막 등이 있었고, 서원(書院)에서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들이 모여 살았다 하여 원거리(院巨里)라 하였다. 또한 이곳에 죄인들의 사형을 집행하는 터가 있어 백성들의 원망이 높았기 때문에 원거리(怨巨里)라고도 하였다.
월승리 (月昇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부량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제월리의 ‘월’자와 초승리의 ‘승’자를 따서 월승리(月昇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부량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제월리와 초승리를 병합하여 월승리라 하고 김제군 부량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부량면 월승리가 되었다.
월현리 (月弦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청하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마을의 지형이 초승달 형상이어서 월현리(月弦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대리·목교리·석한리·장천리·중대리 일부, 동이면 신기리 일부를 병합하여 월현리라 하고 김제군 청하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청하면 월현리가 되었다.
유강리 (柳江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백구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유천리의 ‘유’자와 강좌리의 ‘강’자를 따서 유강리(柳江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목연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유천리·장과리·율포리·신정리·부용리 일부, 만경군 북이도면 동계리, 익산군 남일면 도자강리 일부를 병합하여 유강리라 하고 김제군 백구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백구면 유강리가 되었다.
입석 (立石)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입석동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입석(立石)은 마을에 선돌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장근재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와 완주군 구이면 안덕리를 연결하는 고개.
명칭유래
장근재는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서 완주군 탑선을 넘어가는 고개이다. 소나 말이 짐을 싣는 길마형국이라서 길마재라고도 하며, 미치(美峙)라고도 한다.
장산리(청하면)(莊山里(靑蝦面))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청하면 장산리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장산은 마을의 산이 길게 뻗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만경군 북일도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청운산 고개에서 여자 장수가 태어났다 하여 씩씩할 ‘장(壯)’자, 뫼 ‘산(山)’자를 써서 장산이라 불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금차리·거산리·공향리·신월리·관원리 일부, 김제군 마천면 청하리·제상리·제하리·거산리 일부를 병합하여 장산리(莊山里)라 하고 김제군 청하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청하면 장산리가 되었다.
장승배기 (長承배기)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만경읍 몽산리에 있던 자연마을.
명칭유래
군산 방면에서 만경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장승이 서 있었기 때문에 장승배기라 하였다.
장신리 (長新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용지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장신리의 ‘장’자와 신기리의 ‘신’자를 따서 장신리(長新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김제군 금굴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신리·신교리·신기리·영등리·묘동리·용와리 일부, 공동면 상모리·영천리 일부를 병합하여 장신리라 하고 김제군 용지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 용지면 장신리가 되었다.
평사리 (平沙里)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봉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마을 지형이 가까이서 보면 평사낙안(平沙落雁), 멀리서 보면 금환낙지(金環落地) 형국이므로 평사리(平沙里)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금구군 남면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평산리·등용리·주자리·대하리·송내리 각 일부, 초처면 성덕리 일부를 병합하여 평사리라 하고 김제군 하리면에 편입하였다. 1935년 하리면이 봉남면으로 개칭됨에 따라 김제군 봉남면 평사리가 되었고, 1995년 1월 1일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폐합됨에 따라 김제시에 속하게 되었다.
향교골 (鄕校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자연마을.
명칭유래
교동에 있는 향교·교남·성산·신동·사직단 등 5개 자연마을 가운데 향교마을과 교남마을을 향교골이라고 한다. 향교골은 향교가 있는 마을, 향교가 있는 골짜기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