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김제시 인구정책 수립을 위한 시민 설문조사
- 설문기간 : 2021-02-03~ 2021-02-14
- 질문문항 : 32개문항
설문참여 : 131 명
1. 성 별
-
남자
40% (51.0명)
-
여자
63% (80.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 연 령
-
20대(20-29세)
8% (11.0명)
-
30대(30-39세)
30% (39.0명)
-
40대(40-49세)
26% (34.0명)
-
50대(50-59세)
30% (39.0명)
-
60대이상
5% (7.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3. 거 주 지
-
요촌동
26% (34.0명)
-
신풍동
25% (32.0명)
-
검산동
17% (22.0명)
-
교월동
10% (13.0명)
-
만경읍
3% (4.0명)
-
죽산면
3% (5.0명)
-
백산면
1% (2.0명)
-
용지면
0% (1.0명)
-
백수면
0% (1.0명)
-
부량면
0% (0.0명)
-
공덕면
0% (1.0명)
-
청하면
1% (2.0명)
-
성덕면
3% (4.0명)
-
진봉면
0% (1.0명)
-
금구면
3% (4.0명)
-
봉남면
0% (1.0명)
-
황산면
0% (0.0명)
-
금산면
2% (3.0명)
-
광활면
0% (0.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4. 김제시 거주기간
-
5년 미만
11% (15.0명)
-
5-10년 미만
11% (15.0명)
-
10-15년 미만
10% (13.0명)
-
15-20년 미만
5% (7.0명)
-
20년 이상
63% (80.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5. 거주형태
-
김제시 태생 거주
57% (72.0명)
-
타 지역에서 유입
46% (58.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6. 월평균소득
-
100만원 미만
15% (20.0명)
-
100-200만원 미만
26% (34.0명)
-
200-300만원 미만
26% (33.0명)
-
300-400만원 미만
14% (18.0명)
-
400-500만원 미만
6% (8.0명)
-
500만원 이상
13% (17.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7. 귀하는 김제시의 인구감소 문제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계십니까?
-
매우 심각하다
61% (78.0명)
-
심각한 편이다
28% (36.0명)
-
보통이다
11% (15.0명)
-
심각하지 않다
0% (1.0명)
-
전혀 심각하지 않다
0% (0.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8. 귀하는 김제시의 인구감소의 주된 요인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
타 지역으로의 전출
53% (68.0명)
-
저출산 심화
15% (19.0명)
-
높은 사망률
0% (1.0명)
-
유입요인 부족
29% (37.0명)
-
()
0% (0.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9. 귀하는 거주하고 있는 지역(읍면)의 인구가 많이 줄었다고 느끼십니까?
-
그렇다
74% (94.0명)
-
아니다
6% (8.0명)
-
잘 모르겠다
18% (23.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0. 귀하는 살고있는 지역(읍면)의 인구가 많이 줄었다고 생각한 이유가 무엇입니까?
-
일자리가 없어서
37% (47.0명)
-
정주기반이 취약해서
19% (24.0명)
-
좋은 학교나 교육시설이 없어서
18% (23.0명)
-
병원 등 편의시설이 없어서
10% (13.0명)
-
육아보육이 힘들어서
1% (2.0명)
-
기타 ( )
12% (16.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1. 귀하는 김제시 인구가 앞으로 어떻게 될 거라고 생각하십니까?
-
크게 감소할 것이다
64% (81.0명)
-
조금 감소할 것이다
27% (35.0명)
-
현재 인구 그대로 유지할 것이다
3% (4.0명)
-
조금 증가할 것이다
3% (5.0명)
-
크게 증가할 것이다
0% (0.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2. 귀하는 김제시의 인구증가를 위해 시급히 추진해야 할 정책이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
기업(중소기업 포함) 유치
52% (66.0명)
-
신규택지개발 및 전원마을 조성
15% (20.0명)
-
병원 등 의료복지 서비스 확대
46% (59.0명)
-
귀농귀촌지원 확대
23% (29.0명)
-
출산양육비 지원 확대
26% (34.0명)
-
양질의 일자리 창출
61% (78.0명)
-
문화체육 시설 및 숲공원 등 생활인프라 확충
34% (44.0명)
-
은퇴자 유입 환경 조성
9% (12.0명)
-
빈집 및 주거환경개선
21% (27.0명)
-
기타의견 ( )
4% (6.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3. 귀하는 김제시 인구정책 지원사업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ex. 전입장려금, 전입이사비, 결혼축하금, 청년주택수당 등)
-
매우 잘 안다
12% (16.0명)
-
잘 안다
38% (48.0명)
-
보통이다
38% (49.0명)
-
모른다
7% (9.0명)
-
전혀 모른다
2% (3.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4. 귀하는 인구정책지원사업이 전입 촉진에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
매우 도움이 된다
5% (7.0명)
-
도움이 된다
30% (38.0명)
-
보통이다
41% (52.0명)
-
도움이 안된다
15% (19.0명)
-
전혀 도움이 안된다
7% (9.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5. 인구유입 및 정착에 가장 도움이 되는 지원정책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2가지 선택)
-
결혼축하금 (혼인신고한 부부에게 세대당 1000만원을 4회 분할 지급)
35% (45.0명)
-
청년주택수당 (유자녀 무주택 청년부부에게 세대당 매월 10만원 3년간 지급)
17% (22.0명)
-
전입장려금 (타지에 3년이상 거주 후 김제시로 전입 시, 1인당 20만원 지급)
18% (23.0명)
-
전입이사비 (타지에 3년이상 거주 후 2명이상 동시에 김제시로 전입 시, 세대당 30만원 지급)
9% (12.0명)
-
청년인턴사원제 (관내 중소제조기업 취업청년, 2년간 분기별 90만원 총 720만원 지원)
25% (32.0명)
-
청년인턴사원제 (관내 중소제조기업 취업청년, 2년간 분기별 90만원 총 720만원 지원)
29% (37.0명)
-
행복주택보증금 (청년, 신혼부부 등 행복주택 임대보증금의 80%를 1회 2년간 지원, 최대 6년 지원)
42% (53.0명)
-
국적취득자 정착지원금 (1년 이상 외국인등록이 된 자 중 대한민국 국적 취득한 자, 1인당 100만원 지급)
2% (3.0명)
-
입주기업 근로자 출퇴근버스 운영 (산업단지 및 농공단지 입주기업 근로자에게 출퇴근버스 교통지원)
18% (23.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6. 타 시군에서 시행중인 사업을 포함하여 김제시에 새롭게 도입이 필요하거나 확대가 필요한 시책이 있다면(금액 등) 자유롭게 기재하여 주십시오
-
- ·주관식(총 126명 응답)
17. 귀하는 김제시의 결혼&출산장려를 위해 가장 중요한 항목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
출산비, 양육비 지원 확대
11% (15.0명)
-
보육시설 확충 및 지원
18% (23.0명)
-
신혼부부 주택우선 공급 확대
8% (11.0명)
-
결혼·출산 인식개선 사업 확대
6% (8.0명)
-
청년 일자리 제공
12% (16.0명)
-
고용 안정화 (일, 가정양립, 휴직 등)
29% (37.0명)
-
산후도우미 및 조리원 등 산후관리지원 확대
5% (7.0명)
-
선진화된 출산·의료서비스
3% (5.0명)
-
기타 ( )
2% (3.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8. 귀하는 김제시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인구정책으로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임신·출산·육아·보육 등 생애별 맞춤 재정 지원
25% (32.0명)
-
아파트 신규공급 등 정주 인프라 개선
15% (19.0명)
-
어린이 특화형 키드산업 육성
5% (7.0명)
-
공공보육돌붐시설 확충 및 인프라 개선
11% (15.0명)
-
일·가정 양립을 위한 맞벌이 육아 애로 해소
23% (29.0명)
-
인구감소 위기 극복 인식·문화개선
9% (12.0명)
-
의료복지서비스 지원
7% (9.0명)
-
기타 ( )
1% (2.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19. 귀하는 김제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돌봄서비스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다함께돌봄센터 (만6~12세 아동, 시간제 돌봄제공, 간식제공, 학습지원 프로그램 운영, 하교지원 등) 공동육아나눔터 (미취학 및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공동육아 지원 및 놀이활동 지원 등) 아이돌봄지원사업 (만0~만12세이하 아동, 시간제, 영어종일제, 질병감염아동지원서비스 등)
-
매우 잘 안다
7% (9.0명)
-
잘 안다
22% (28.0명)
-
보통이다
46% (58.0명)
-
모른다
16% (21.0명)
-
전혀 모른다
7% (9.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0. 귀하는 보다 나은 김제시의 양육보육환경을 위해 추진해야 할 사항이 무엇이라 보십니까?
-
국공립 공공어린이집 확대
19% (24.0명)
-
육아통합지원센터 설치
19% (24.0명)
-
방과 후 아동 돌봄 확대
19% (25.0명)
-
출산보육수당 지원 확대
9% (12.0명)
-
보모 가정방문 육아지원
3% (5.0명)
-
어린이 놀이시설 등 문화체험공간 확충
24% (31.0명)
-
기타 ( )
3% (4.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1. 귀하는 김제시 학생들이 타 지역 학교로 진학하는 가장 큰 원인이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
도심권내 편리한 교육환경 및 인프라
31% (40.0명)
-
교육의 질적차이(학교시설, 교사 등)
42% (53.0명)
-
특성화교육지원 (외국어, 영재교육 등) 부족
12% (16.0명)
-
관내 명문학교 부재
6% (8.0명)
-
다양한 사립학원 부족
0% (0.0명)
-
기타 ( )
0% (1.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2. 귀하는 김제시가 저출산 보육분야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출산 및 산후조리 등 출산의료 인프라
46% (58.0명)
-
김제형 재가 산후조리 서비스
15% (20.0명)
-
어린이 전통놀이 융복합 체험관 조성
13% (17.0명)
-
김제 꿈나무 보육재단 설립
23% (30.0명)
-
기타 ( )
0% (0.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3. 귀하는 김제시에서의 삶의 만족도는 어떠하십니까?
-
매우 만족
2% (3.0명)
-
만족하는편
27% (35.0명)
-
보통
51% (65.0명)
-
만족하지않는편
15% (19.0명)
-
매우 불만족
2% (3.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4. 귀하는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
신규택지개발 등 공공주택 확대
18% (23.0명)
-
전원마을 부지공급 및 신축지원
14% (18.0명)
-
신혼부부, 다자녀세대 임대주택 공급 확대
29% (37.0명)
-
악취해소 등 주거 환경 개선
14% (18.0명)
-
빈집정비 및 제공
21% (27.0명)
-
기타 ( )
1% (2.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5. 귀하는 거주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해야 할 사항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빈집 및 폐가 정비
50% (63.0명)
-
골목 환경 개선 (가로등, 청결)
15% (20.0명)
-
취약계층 주택 리모델링 지원
11% (15.0명)
-
녹지공원시설 확충
13% (17.0명)
-
우범지역 순찰 강화
3% (5.0명)
-
낡은 지붕 개선 (슬레이트 지붕 등)
0% (0.0명)
-
기타()
3% (5.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6. 귀하는 김제시 산업개발축인 지평선산업단지와 백구특장산업 클러스터내 일자리와 연계한 근로자 및 주민들의 정주환경 개선을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농촌유토피아 교육주거복합단지 조성
31% (40.0명)
-
김제 특장차 체험 관광단지 조성
11% (15.0명)
-
김제 산업단지형 공동 직장어린이집 조성
23% (30.0명)
-
디지털 기반 안전한 산업단지 환경조성
15% (20.0명)
-
산업단지근로자 카풀서비스 지원 및 통근버스 운영
12% (16.0명)
-
기타 ( )
3% (4.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7. 귀하는 김제시가 앞으로 빈집활용 및 도시 공간을 채워감에 있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새만금-김제-전주 거점연계형 선형도시 조성
17% (22.0명)
-
김제형 빈집 정보 플랫폼 구축
33% (42.0명)
-
빈집관리 제도 개선 및 부동산 연계 뱅크 운영
17% (22.0명)
-
유휴자원 활용 커뮤니티호텔 조성 (신풍동, 부용역 일원을 체험형, 역사문화테마의 커뮤니티호텔 시설로 정비)
26% (33.0명)
-
기타 ()
4% (6.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8. 귀하는 타 지역 사람들이 김제시에 귀농 귀촌을 희망하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십니까?
-
전원생활을 하고 싶어서
42% (54.0명)
-
가업을 잇기 위해서
6% (8.0명)
-
고향의 부모님과 같이 살고 싶어서
11% (15.0명)
-
도시의 경쟁적 삶이 싫어서
15% (20.0명)
-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
4% (6.0명)
-
높은 소득창출을 위해
7% (9.0명)
-
지원 및 혜택이 좋아서
7% (9.0명)
-
자녀교육 때문에
0% (0.0명)
-
기타 ()
3% (4.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29. 김제시 귀농 귀촌 활성화를 위해 귀하는 어떤 정책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두 가지만 체크해 주세요.
-
주택매입 · 신축 · 수리비 지원 (귀농, 귀촌인))
39% (50.0명)
-
농지 임차비 · 매입비 지원 (귀농인)
32% (41.0명)
-
비닐하우스 신축비 (귀농인)
3% (5.0명)
-
출산장려금 지원 (귀농, 귀촌인)
3% (5.0명)
-
자녀자금 지원 (귀농, 귀촌인)
14% (18.0명)
-
교육훈련비 지원 (귀농, 귀촌인)
16% (21.0명)
-
이사비 지원 (귀농, 귀촌인)
4% (6.0명)
-
기타 ( )
3% (4.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30. 귀하는 귀농, 귀촌인이 김제시에 잘 정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농촌에 대한 이해
14% (18.0명)
-
가족들의 지지
1% (2.0명)
-
토지 및 주거공간의 확보
19% (24.0명)
-
안정적인 소득
36% (46.0명)
-
시의 지원
3% (4.0명)
-
특화작물 정보 제공
4% (6.0명)
-
지역주민과의 소통 및 화합
17% (22.0명)
-
기타 ( )
2% (3.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31. 귀하는 김제시가 귀농귀촌분야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할 신규사업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스마트팜 연계 청년창농벤처밸리 조성 (ICT기반 농식품 멘처 창업 및 기술지원, 농식품 R&D특허지원 등)
23% (29.0명)
-
김제형 생활기술학교 (집 고치기, 농사기술, 목공, 천연염색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11% (15.0명)
-
귀촌귀향 워킹홀리데이 프로젝트 (농촌지역에 터를 잡고 지역주민과 함께 농사짓고 생활하여 귀촌귀향
30% (39.0명)
-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귀농귀촌인 재능동아리 (귀농귀촌인 소모임 동아리 활동 지원 및 지역주민과 교류 강화)
11% (15.0명)
-
영농승계 청년 창농 및 정착지원 (컨설팅지원, 청년농특화 전문 판매장터 운영, 농업 신직종 자격증 지원 등)
18% (23.0명)
-
기타 ( )
3% (4.0명)
-
·주관식
(총 126명 응답)
32. 귀하께서 김제시 인구정책 발전 및 수립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정책 및 사업이 있거나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기재해주시길 바랍니다.
-
- ·주관식(총 126명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