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김제시 농업기술센터

하우스내 유해 작업환경

고온, 다습, 무풍(환기부족), 급격한 외부와의 온도차, 한밤중이나 새벽의 높은 CO2 농도 하에서의 출하조정작업 등.

하우스병의 증상

요통, 견통, 감기에 자주 걸림, 현기증, 구토증, 쉽게 피로함 등

비닐하우스내 작업환경개선 및 하우스병 예방 지침

  • 급격한 온도차로 인한 체온조절능력 저하 예방 : 비닐하우스 안과 밖의 온도차를 줄이는 중간휴식공간을 설치한다.
  • 작업시간 : 될 수 있으면 하루 5시간 이상 하우스 안에서 일하지 않고, 산소공급을 자주 한다.
  • 탈수증을 막기 위해 물 1ℓ에 소금 1/2 작은술을 타서 수분을 섭취한다.
  • 하우스에 온도계를 매달아 놓고 자신의 작업온도를 점검한다.
  • 작업복은 방수가 되면서 조금 추울 정도로 입는다.
  • 하우스 밖으로 나올 때는 찬물로 세수를 하거나 찬 물수건으로 얼굴을 닦고 나서, 마스크를 쓰고 수건으로 목과 어깨 등을 보호한다.
  • 하우스 밖에 나와서는 손과 손목을 맛사지하고, 목과 어깨운동을 한다.
  • 이외에 통로 바닥의 평면화, 운반기기 및 보조도구의 사용 등을 통해 노동부담을 경감시킨다.

비닐하우스 중간휴식실

  • 중간휴식실의 구비조건
    • 환기, 난방조절로 바깥공기와 하우스 내의 중간온도 유지
    • 휴게실, 간이 운동시설, 세면·샤워시설, 화장실
    • 냉·온수공급 및 간이 취사시설
    • 기타 출하조정을 작업대, 문화시설 등
  • 중간휴식실의 효과
    • 작업중간의 짧은 휴식·식후의 수면·요통방지 기구 등의 피로회복기구의 사용 등으로 빠른 피로회복 가능 ·일의 능률향상
    • 취사 및 휴식을 위한 집과의 왕래시간 및 불편함을 덜고, 쾌적한 상태에서의 휴식 및 취사 가능
    • 하우스 안팎의 중간 온도인 휴식실의 사용으로, 바로 찬바람을 쐬는 일이 없어 감기에 덜 걸림.
    • 땀 흘린 후에나 농약살포 후에 바로 샤워가 가능
    • 편안한 수확물 선별작업장으로 활용 가능
    • 포장박스 보관 및 비가 올 때의 수확물 보관에 유용.
콘텐츠 만족도 조사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콘텐츠 담당부서

  • 담당부서 농업기술센터 농업정책과
  • 전화번호 063-540-3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