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문학마을은 일제강점기를 다루는 소설의 배경으로 '수탈당한 땅과 뿌리 뽑힌 민초들'이 민족의 수난과 투쟁을 대변하는 소설 아리랑의 배경을 재현한 곳이다.
이용안내
위 치 : 김제시 죽산면 화초로 180
관람시간 : 오전 9시 ~ 오후 6시
휴 관 일 : 1월 1일, 매주 월요일(다만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날)
입 장 료 : 무료
문의전화 : 063) 540-2926
관람시 주의사항
전시물은 관람만 하시고 만지지 마세요.
아리랑문학마을 내부에서는 애완동물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전시실 내에서는 휴대전화를 끄거나 진동으로 해주시고, 통화는 가급적 전시실 밖에서 해주세요.
시설안내
모형 : 쌀가마니와 논의 형상을 표현함(1동)
표현 : 문학마을의 전체적인 모습을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지점 우리 지역의 대표적인 수탈 대상인 쌀과 토지를 상징하여 중요성을 강조하고 아픔에서 벗어나 발전된 미래 지향적 염원으로 현대식 구조로 조성
일본은 왜 수탈의 대상으로 김제를 선택했는가? 지평선을 이루는 징게맹갱 외에밋들, 생명의 쌀이 있는 곳
주재소
면사무소
우체국
정미소
주요가옥 : 주재소, 면사무소, 우체국, 정미소 (4동)
표현 : 일제강점기 민족의 수탈을 대표한 주요 기관 기관별 활용자료와 당시 사진들을 전시하여 잊혀져 가는 아픈 역사를 상기하여 조국애를 일깨우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
일제강점기 민중의 생활을 개선하기 위한 시설이라는 미명하에 민초들을 착취하고 탄압하던 주재소, 면사무소 등 근대 기관
내촌·외리마을
주요가옥 : 감골댁, 송수익, 지삼출, 손판석, 차득보 가옥 등
표현 : 일제강점기 수탈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해서 주인공들의 삶의 모습을 스토리텔링기법으로 표현하기 위한 공간으로 조성
소설 아리랑의 발원지, 일제강점기 우리 선조들의 수탈과 고난의 삶을 소설 속 주인공의 생활터전을 통하여 느껴보는 공간
이민자가옥
너와집
갈대집
주요가옥 : 너와집, 갈대집(2동)
표현 : 토지조사사업을 비롯하여 산지증식계획, 농촌진흥운동으로 이어지는 일본의 수탈 정책에 못 이겨 대대로 살아온 토지를 떠나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 시베리아 등 이역 땅으로 쫓겨나야만 했다. 그러나 새로운 땅에서 독립의 열망을 잃지 않은 우리 민족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준다.
하얼빈역사
모형 : 1910년경 실존건물을 토대로 60% 정도로 축소 복원
표현 : 1909년 중국 하얼빈역에서 당시 조선 통감부 통감인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의 푸른 영혼이 살아 숨쉬는 역사적 현장이다. 하얼빈역은 우리의 가슴 속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역사 교육장이다. 조국의 아픔과 민족의 설움을 한 청년의 불길 같은 애국심으로 민족의 자존을 세운 승리의 현장이다.
조국의 독립을 위한 끝없는 항쟁, 1909.10.26 하얼빈역에서 이토히로부미를 저격 사살
찾아오시는길
내비게이션 이용하실 때 "아리랑문학마을" 검색 또는 주소 검색 [전북 김제시 죽산면 화초로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