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골제

우리나라 최고의 최대의 저수지
이용안내
  • 전시해설안내

    전시설명은 문화관광해설사와 우리시 관광안내원에 의해 진행되며 일반 및 단체 관람객을 대상으로 합니다. 해설을 원하시는 관람객께서는 아래의 전화로
    미리 예약해 주십시오. 체험문의 063-540-4094, 4098, 4985, 547-8503

  • 관람시간 및 휴관일

    운영시간
    09:00 ~ 18:00
    동절기(11월~2월) 09:00 ~ 17:00 휴관일 : 매년 1월 1일, 매주 월요일

입장료
  • 무료

  • 무료

  • 무료

  • 주차장 1700대 (승용차 기준)
  • 쉼터 및 정자 23동
  • 특산품 판매장 지평선 몰

벽골제와 박물관은 미래의 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할 우리의 소중한 문화자산이므로 다음을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더하여 어린이를 인솔하신 지도자께서는 미래의 꽃인 청소년ㆍ어린이들이 공공문화 공간에서 교양인으로 활동할수있도록 지도를 부탁드립니다.

  • 단지 내의 동·식물을 보호해주시기 바랍니다.
  • 단지 내 취사 및 소란행위를 삼가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단지 내 연못 및 시설물은 어린이들에게 위험할 수 있사오니 안전 지도를 부탁드립니다.
  • 쓰레기를 되가져가 주시기 바랍니다. 대단위 공간의 쾌적한 이용은 함께 노력해야 이룰 수 있습니다.
  • 박물관 관람시 질서교육을 부탁드립니다.
  • 벽골제단지는 김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대내외로 천명하고
    근대이전 오천년의 농경 문화가 살아숨쉬는 사적(史蹟)과
    역사의 현장이자 문화 휴식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우리나라 최대의 고대저수지인 사적 제111호 벽골제는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에서
    월승리에 걸친 약 3㎞에 이르는 제방(두 개의 수문 장생거와 경장거 포함)과 1415년 건립된
    벽골제 중수비를 포함하여 1963년 1월 21일에 국가사적 제111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국가사적 벽골제와 그 배경인 김제만경들녘의 문화사적 의미를 조명하기 위하여
    김제시는 1975년 벽골제 부분발굴을 필두로 하여 1980년 유적정화공사,
    1990년 개발위원회 구성 및 추진을 통해 과거와 미래를 연결할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였습니다.

    현 벽골제단지에는 벽골제와 농경문화를 대주제로
    전시 및 자료수집과 연구조사를 진행하는벽골제농경문화박물관,
    김제를 발원지로 일제강점기를 다룬 소설 아리랑의 자료를 전시하는 아리랑문학관,
    그리고 전북미술계의 거목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친 나상목선생의 벽천미술관과
    농경사를 주제로 어린이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농경사주제관 및 체험관,
    김제 우도농악관 등 문화시설과 각종 야외전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적 벽골제와 각 박물관들은 오래된 고을, 김제의 지역정체성 및 문화를 대내외에 천명하는
    문화공간이자 휴식공간의 역할을 수행하며 문화백년지대계 김제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 1980년 벽골제 유적정화공사
    (벽골제중수비 이전, 기반시설 신설)
  • 1991년 민간주최 벽골제 개발위원회 구성 (성금모금액 : 1억 3백만원)
  • 1998년 04월 21일 벽골제수리
    민속유물전시관 개관
  • 1999년 11월 13일 벽천미술관 개관
  • 2003년 05월 16일 아리랑문학관 개관
  • 2006년 12월 15일 (개칭)벽골제농경
    문화박물관 박물관 등록(전북특별자치도 제6호)
  • 2009년 10월 9일 농경사주제관
    및 체험관 개관
오시는 길
  •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부량면 벽골제로 442 063-540-3934,4986
    김제시내에서 벽골제 이정표 따라 15분 소요 서 김제 IC(서해안고속도로)에서 벽골제 이정표 따라 15분) 서전주 IC(호남고속도로)에서 벽골제 이정표 따라 30분
    터미널에서 부량, 화호, 평교, 금강, 상평 방면 승차 시 15분소요
    김제역(KTX정차)에서 대중교통 이용 시 25분 소요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