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적 벽골제와 김제 만경평야, 누천년 농경문화의 가치를 선양하기 위한 전시교육공간으로 1998년 개관하였다. 사적 벽골제 및 농경문화의 가치에 접속하고 지역을 발견하며 공립 교육시설로써 조사연구 · 자료수집 · 보존관리 · 전시교육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경문화, 생활민속, 벽골제언실, 동진관으로 4개의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이 운영되고 있으며, 2021년 실감콘텐츠 디지털영상관을 개관하였다.
- 
        
          농경문화
           1전시실(207.3㎡) 전통농경사회 최대의 생업이자 온 문화를 떠받치는 물질적 기반이었던 농경의 역사, 농경도구, 농경 사회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실이다. 1전시실(207.3㎡) 전통농경사회 최대의 생업이자 온 문화를 떠받치는 물질적 기반이었던 농경의 역사, 농경도구, 농경 사회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전시실이다.
- 
        
          생활민속
           2전시실(210.4㎡) 농경을 통해 풍요로운 생산이 보장되고, 이로부터 다양한 생활민속 및 정신문화가 이루어진다. 일상에서 농경을 통한 의생활, 식생활, 세시풍속, 민간신앙에 대하여 전시하고 있다. 2전시실(210.4㎡) 농경을 통해 풍요로운 생산이 보장되고, 이로부터 다양한 생활민속 및 정신문화가 이루어진다. 일상에서 농경을 통한 의생활, 식생활, 세시풍속, 민간신앙에 대하여 전시하고 있다.
- 
        
          벽골제언
           3전시실(201.3㎡) 전통농경사회에서 치수 및 치국의 전략이었던 벽골제 의 정치, 문화, 경제적 위상을 우리 지역 김제의 문화적 맥락속에서 조망하여 보는 전시실이다. 3전시실(201.3㎡) 전통농경사회에서 치수 및 치국의 전략이었던 벽골제 의 정치, 문화, 경제적 위상을 우리 지역 김제의 문화적 맥락속에서 조망하여 보는 전시실이다.
- 
        
          동진관
           4전시실(220㎡) 김제시의 오랜 숙원이던 지역 역사문화자료의 벽골제 이관을 통한 집중선양의 결과물로 2013. 4. 3. 한국농 어촌공사와 김제시간 동진수리민속박물관 유물이관 협약이 성사되었고, 동진유물은 벽골제농경문화박물 관으로 이관되어 동진관으로 조성되었다. 2014. 3. 28일 개관하였다. 4전시실(220㎡) 김제시의 오랜 숙원이던 지역 역사문화자료의 벽골제 이관을 통한 집중선양의 결과물로 2013. 4. 3. 한국농 어촌공사와 김제시간 동진수리민속박물관 유물이관 협약이 성사되었고, 동진유물은 벽골제농경문화박물 관으로 이관되어 동진관으로 조성되었다. 2014. 3. 28일 개관하였다.
- 
        
          2015년 기획전시 : <1415년 벽골제 중수하다>
           기획전시실 금번 전시에서는 벽골제중수비의 비양(碑陽, 비의 전면) 과 비음(碑陰, 비의 배면, 陰記)으로부터 공사의 내용과 인력의 규모, 중수 주역의 면면을 읽어내고, 조선왕조실 록의 기사들로부터 조선 수리행정의 전후맥락을 읽어 벽골제 중수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기획되었다. 벽골제 중수에 땀흘린 유명의 주역들과 무명의 주역 들이 주인공이다. 기획전시실 금번 전시에서는 벽골제중수비의 비양(碑陽, 비의 전면) 과 비음(碑陰, 비의 배면, 陰記)으로부터 공사의 내용과 인력의 규모, 중수 주역의 면면을 읽어내고, 조선왕조실 록의 기사들로부터 조선 수리행정의 전후맥락을 읽어 벽골제 중수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기획되었다. 벽골제 중수에 땀흘린 유명의 주역들과 무명의 주역 들이 주인공이다.
- 
        
           디지털영상관 2021년 실감콘텐츠 디지털영상관을 개관하였다. 디지털영상관 2021년 실감콘텐츠 디지털영상관을 개관하였다.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