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시작
사업의 필요성
지평선한우 생산벨트 조성에 의한 고품질 지평선한우 생산기반을 확충하여 향후 수입개방화에 따른 지평선한우의 경쟁력 제고
- 김제 지평선 한우 명성 유지, 이미지 제고 및 세계 명품화
- 대규모 집단사육단지를 조성하여 사육단계의 효율성 증대로 지평선한우의 가격안정성 확보
- 생산ㆍ가공판매 및 관광지화에 의한 김제 지평선한우 산업의 고부가가치창출 및 김제시 전체 지역경제 활성화
사업개요
김제시 일원에 대규모 지평선한우 생산벨트를 조성하여 지평선한우의 집단사육단지 구축
- 지평선한우 사육두수는 2,203두로 향후 국민소득의 증가 및 웰빙 시대의 한우 수요 증대 등을 고려할 때 향후
10년간 100,000두 규모로 사육규모를 확대할 계획임
- 김제시 서부지역의 평야지역을 중심으로 청보리사료의 자급기반 확보
추진방향
지평선한우 산업의 클러스트 형성을 위한 고품질 지평선한우 생산벨트 구축
- 현대적인 축사 설비 및 청보리섬유질 배합사료 급여를 통한 고급육 생산과 생산비 절감
추진계획
지평선한우 생산벨트 조성
- 김제시 일원에 대규모 생산단지 조성
- 지평선한우 사육농가 및 사육두수의 확대로 지평선한우 생산거점 기능 강화
- 김제시의 지평선한우 생산여건이 광활한 평야를 기반으로 청보리의 대규모 재배를 통한 사료의 확보가 용이하며, 지평선한우의 우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시비를 통한 유기농 쌀 생산 및 유기농 채소의 생산에 유리함
- 사업기간 및 규모
- 사업기간 : 2007 ~ 2011 (5개년)
- 사업규모 : 매년 8,800두 규모로 확대하여 계획기간 중 총 44,000두의 신규 한우사육 생산단지를 조성함
- 투자비 : 2,102억원(축사 870억 + 송아지입식 1,171억원 + 토지 61억원)
- <표>지평선한우 생산벨트 조성사업 연차별 투자계획
(단위:백만원)
지평선한우 생산벨트 조성사업 연차별 투자계획 구분, 연도별(2007~2011년, 계) 정보제공
구 분 |
연도별 |
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지평선한우 생산벨트 |
210,295 |
24,775 |
46,380 |
46,380 |
46,380 |
46,380 |
계 |
210,295 |
24,775 |
46,380 |
46,380 |
46,380 |
46,380 |
국 비 |
24,880 |
4,000 |
5,220 |
5,220 |
5,220 |
5,220 |
지방비 |
23,880 |
3,000 |
5,220 |
5,220 |
5,220 |
5,220 |
민 자 |
161,535 |
17,775 |
35,940 |
35,940 |
35,940 |
35,940 |
지평선한우 생산벨트 관련 시설 현황(기시설)
- 청보리 섬유질배합 사료공장 현황
- 현재 전북 김제시 황산면 쌍감리에 8,434㎡(2,551평)규모의 전북한우협동조합에서 운영하고 있는 섬유질 배합사료 공장이 운영 중에 있으며, 추가로 김제시 죽산면 신흥리에 8,283㎡(2,505평)규모의 공장이 5월에 준공 계획에 있다
- 기존시설과의 연계
- 기운영중인 섬유질 배합사료 공장과 신규 신축중인 배합사료 공장과 연계하여 지평선한우 생산벨트 조성 사업을 추진할 것이며 지평선한우 사육증가에 따른 추가 공장의 신축등 부가적인 시설의 신축을 계획하고 있다.
- 담당부서 : 농업기술센터 축산진흥과
- 연락처 : 063-540-3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