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효과
지평선한우 시장경쟁력 강화
- 지평선한우 계열화사업 추진 및 고품질 추진으로 시장경쟁력 강화
- 지평선한우의 계열화 사업 및 대규모 사육단지 추진으로 김제 지평선한우의 품질인증 유지 및 생산성 제고
- 청보리 섬유질 배합사료 급여로 1등급육 출현율 제고로 인한 한우사업의 경쟁력 강화
- 지평선한우의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과 유통체계 개선으로 효율성 제고
친환경 자연 순환 농법으로 재배한 청보리 및 지평선한우 생산으로 부가가치 증대
- 친환경 자연 순환 농법으로 재배한 청보리의 재배로 안전한 사료의 공급이 가능하며, 지평선한우 역시 친환경 한우브랜드로 육성하여 지평선한우의 가치 증대
- 로하스 개념에 적합한 청보리 및 지평선한우 생산과 지평선한우 한마음 축제 활성화로 관광객 유치 확대를 통한 부가가치 확대
- 웰빙시대의 친환경 건강식품으로서 다양한 쇠고기 가공제품 생산기반 마련
유휴농지 활용 및 친환경 쌀과 청보리의 안정적 확보
- 청보리 재배확대로 겨울철 유휴농지 활용에 의한 토지용역비 감소 및 휴경지의 활용에 의한 자원관리 효율성 제고
- 청보리 재배추진으로 수도작 농가의 겨울철 노동활용
- 지평선한우의 부산물인 우분은 발효 퇴비화 하여 광활한 평야의 수도작 농가에 제공함으로써 고품질의 친환경 쌀 및 청보리를 안정적으로 확보
지평선한우 관광산업 촉진을 통한 그린투어리즘 확산
- 호남지역의 최대 청보리 생산의 메카로서 주변개발 등의 사업을 통합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지역의 정체성과 농촌관광의 활성화로 나타날 것임
-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통하여 외부 관광객들에게 지평선한우 생산벨트의 이미지를 강화시켜 줌으로써 지속적인 재방문 촉진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소득증대
- 지역의 특성인 쌀생산과 더불어 청보리생산의 메카로 농축산업 생산, 유통, 체험, 교육이 웰빙산업과 연계되어 고부가가치화 가능
- 고부가가치를 통해 창출된 소득으로 인해 상업, 서비스업 발전이 촉진될 것이며 이를 통해 지역주민의 일자리, 소득향상 등을 기대
- 지역주민의 질 높은 문화, 복지적 차원의 정비가 이루어지므로 이를 통한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적 체험을 가능하게 할 것임
지역개발효과
김제시 발전비전의 조기달성 및 지역사회 활력 증대
- 김제시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과 병행하여 김제시의 미래상이 조기에 달성할 수가 있을 것임
- 광활한 평야에 청보리를 재배하여 4~5월 쾌적한 지역 경관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이미지를 제고함
- 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생산적 활용으로 지역사회의 활력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됨
지역상권 활성화와 지역균형개발
- 핵심사업인 지평선한우 생산벨트와 지평선한우 한마음축제 사업에 의해 생산 및 관광, 상업 거점이 조성되어 이미지가 개선되고 김제지역 상권의 시너지효과 유도
- 김제 시내권 중심 발전에서 지평선한우 생산벨트 주변개발로 전체적 균형있는 발전이 예상됨
경제적 파급효과
김제시 지평선한우 산업특구의경제성 분석 총괄
- 김제시 지평선한우 산업특구 추진으로 나타나는 직접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는 지평선한우 사육으로 인한 소득증대효과 114억 4천만원, 청보리 재배로인한 소득증대효과 70억 6천5백만원, 친환경 쌀 재배로 인한 소득증대효과 20억 3백만원으로 분석됨
- 지평선한우 산업특구 특화사업의 단계적 투자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바탕으로 김제시는 21세기 한우산업의 중심지로 전국적인 시장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임
- 지평선한우 한마음축제 등을 중심으로 "소 세계품평회"의 추진 등을 통한 지평선한우 명품화 및 세계화 실현 및 서해안권의 농촌체험 관광도시로 새로운 발전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됨
- 지평선한우 산업특구의 지정을 통한 특화사업의 계획적인 추진으로 쌀시장개방 등 농산물수입 자유화로 주요 농업소득기반이 무너지고 있는 김제시 지역주민의 새로운 농업소득기반이 확충되어 고소득화가 달성될 것임
특화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1. 지평선한우 사육으로 인한 소득 증대효과
2. 청보리 재배로 인한 소득 증대효과
- 평균 2ha 규모의 청보리를 재배하는 농가의 경우 청보리 사일레지 kg당 가격이 100원이고 ha당 청보리 생산수량을 27톤으로 적용할 때, 청보리 재배농가는 호당 1,413천원의 소득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됨
- 목표기간 중 청보리 재배면적을 1,000ha 규모로 확대할 경우 청보리를 재배하는 농가는 총 35억 3천 3백만원의 소득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표>청보리 재배로 인한 소득증대효과
(단위: 호, 천원)
청보리 재배로 인한 소득증대효과 표로 호당소득, 재배호수, 총 소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호당소득 |
재배호수 |
총 소득 |
1,413 |
2,500 |
3,532,500 |
- <표>김제시 청보리 재배면적 변동 추이
(단위:ha)
김제시 청보리 재배면적 변동 추이 표로 구분, 김제시 청보리 재배면적(2006, 2011), 비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
김제시 청보리 재배면적 |
비고 |
2006 |
2011 |
김제시 |
1,006 |
4,000 |
|
전라북도대비 |
|
77.09% |
5,189ha |
3. 친환경 쌀 재배로 인한 소득 증대효과
- 우분발효비료 시비로 인해 친환경쌀을 생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얻어지는 추가적인 소득의 증대분을 추산함
- 친환경 쌀의 생산은 전라북도 친환경농업 5개년계획에서 밝힌 정재배면적의 10%수준으로 한정하여 추산함
- 친환경 쌀 재배로 인한 수익증가분
- 10a 당 소득을 보면 친환경 쌀이 일반농법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농법에 의한 소득이 평균 579,011원인데 비해 일반벼의 소득은 491,253원으로 10a당 87,758원의 소득이 높음
- <표>조사농법별 10a당 벼 소득
(단위:원)
조사농법별 10a당 벼 소득 표로 구분, 오리농법, 우렁이농법, 쌀겨농법, 일반농법, 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
오리농법 |
우렁이농법 |
쌀겨농법 |
일반농법 |
계 |
조수입 |
1,163,259 |
1,037,594 |
925,474 |
905,832 |
989,555 |
경영비 |
고용노력비 |
36,653 |
28,389 |
21,893 |
24,033 |
27,049 |
위탁작업비 |
65,361 |
41,879 |
51,540 |
37,959 |
46,994 |
토지임차료 |
108,355 |
136,892 |
73,773 |
192,499 |
139,636 |
총물재비 |
336,161 |
250,769 |
237,626 |
160,088 |
230,466 |
소계 |
546,531 |
457,928 |
384,832 |
414,579 |
444,145 |
소득 |
616,728 |
579,666 |
540,641 |
491,253 |
545,410 |
자료 : 오세익 외, 친환경쌀의 재배유형별 생산·유통·소비구조 분석과 경쟁력 제고방안,
한국 농촌경제연구원·농림부. 2005.7 p. 76
- 김제시의 미곡 재배면적은 22,820ha로 목표기간 중 김제시 미곡 재배면적의 10%인 2,282ha를 친환경 쌀 재배로 전환함에 따라 총 2,003백만원의 소득증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
- <표>친환경 쌀 재배로 인한 소득증대효과
(단위:ha)
친환경 쌀 재배로 인한 소득증대효과 표로 쌀 재배면적, 친환경 쌀 재배면적, 10a당 주가소득, 소득증가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쌀 재배면적 |
친환경 쌀 재배면적 |
10a당 주가소득 |
소득증가분 |
22,820ha |
2282ha |
87,758원 |
2,002,637,500원 |
- 담당부서 : 농업기술센터 축산진흥과
- 연락처 : 063-540-3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