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설거사(浮雪居士)

  • 관리자
  • 2019.01.08
  • 2074

신통력을 자랑했던 부설거사(浮雪居士)

* 본명 : 진광세 (陳光世)
* 법명 : 부설 (浮雪
)
* 출생지 :신라(新羅) 수도(首都)  경주 성내(慶州 城內
)

(1)
어린시절
부설(浮雪)은 신라(新羅) 선덕여왕(善德女王) 시대에 찬란했던 문화의 중심지인 신라의 수도 경주 성내에서 진씨댁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의 이름은 진광세(陳光世)이며 태어나면서부터 총명한 재질에 용모가 비범하여 그 부모가 기뻐함은 물론이요, 동네 사람들에게 까지 귀여움을 한몸에 받아 가며 곱게 자라나 진씨댁(陳氏宅)에 큰 인물이 났다고 칭송이 자자하였다
.
부설은 글을 배울 때도 한 번 배운것은 다시 묻는 일이 없고, 오히려 배우지 않은 것도 복습하듯 깨우쳐 나갔다. 또한 아이들끼리 놀 때도 아이 놀이가 아니고 어른들이 노는 것 같았다. 어떤 때는 서쪽을 향하여 몇 시간씩 있기도 하고, 때로는 나무 밑에 혼자 앉아 있기도 하며, 중을 만나면 기꺼워하고 살생하는 것을 보면 비웃고 하더니, 20세가 되던 해에 홀연히 집을 등지고 출가(出家)할 결심을 하고 불국사 원정선사(圓淨禪師)를 찾아가 중생이 불법(佛法)에 들어가는 길을 안내 받고 원정스님께 출가하기로 결심한다. 그리하여 원정스님께 돌아가 몸을 의지하고 머리를 깎고 중이되어 승려로서 지켜야 할 모든 행동규범을 익혀 광세(光世)란 이름을 버리고 법명(法名)을 받으니 부설(浮雪)이란 호(號)로 비구(比丘)가 되었다
.

부설은 일심(一心)으로 인내하는 사찰(寺刹)생활과 부처의 모습을 생각하며 정신을 집중하여 염불하고 불경을 읽는 등 수도생활에 정진하여 경서를 연구하는 정통 학문인 경학(經學)이 높은 경지에 이르러 날마다 그의 명성은 높아지게 되었으며 경서에 밝고 글을 잘 짓는 덕이 높은 스님들까지도 부설을 가리켜서 불법의 상량감(練樣材)이라 하여 존경하고 사모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 때에 부설을 흠모하는 자가 많았는데 그 가운데 영희(靈熙), 영조(露照)가 불도를 위한 동반자로 흠모 공경하여 따라다녔다
.

부설은 영희, 영조와 더불어 서로 법우(法友)로서 굳게 맹세를 하였다. 그 후 그들은 법왕봉(法王峰)이란 산아래 묘적암(妙寂庵)이라는 불도를 닦을 조그만 절을 세우고 영희, 영조가 부설스님을 공경하며 절(寺中)살림의 고난을 극복하고 모든 어려움과 온갖 모독, 그리고 번뇌를 참고 원한을 일으키지 않는 수행(修行)을 하면서 혹은 소나무의 꽃 가루를 먹고 물을 마시면서 불법을 들으며 진리를 깨달아 사무치는 기쁨을 맛봄을 즐거움으로 여기며 스스로를 다스려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고자 고통을 이겨 나갔다
.

이와 같이 불법의 진리를 깨닫고자 정진(精進)의 나날을 지내고 있던중 정월 십오일(正月 十五日) 묘적암에서의 안거를 마치고, 춘삼월(春三月) 호시절을 당하여 오대산(五臺山)이 문수(文殊)보살 상주도장(常住道場)으로 이름난 곳임을 알고 세 사람은 문수보살을 찾아 뵙고 불법에서의 심오한 묘법(妙法)을 얻고자 낮이면 걸어가고 밤이면 나무 밑이나 헛간 등 아무데서나 눈을 붙이며 여러 날을 걸망을 지고 북쪽으로 오대산을 향하여 올라갔다. 그리하여 두능(株陵=萬頃) 백연지(白連池=능제방죽)라는 곳(현 김제군 성덕면 묘라리)에 당도했는데, 날이 저물고 장마라도 지는 듯 비가 오기 시작하였다. 아무리 만행(萬行)을 하고자 하여도 밤을 쉬어서 떠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집 저 집으로 쉬어 갈 곳을 찾는데 동네 사람이 구무원(仇無寃)의 집으로 가서 쉬기를 청하라고 일러 주기에 찾아가 하룻밤 쉬어 가기를 청하니 주인이 쾌
히 승낙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세 사람은 하룻밤을 자고 가기로 하고 여장을 풀었다.
(2) 묘화와 부설파의 연분(緣分)

이 무렵 (백제 의자왕 10년경) 김제군 성덕면 묘화리(金堤郡聖德面妙花里=지금의 妙羅里)에는 성은 구씨(仇氏)요, 이름은 무원(無寃)이라는 불교(佛敎)신자가 살고 있었다.그는 늦은 나이에 딸 하나를 얻었으니 무남독녀(無男獨女) 외동딸이었다. 귀여운 자손으로 태어나 이름은 묘화(妙花)라고 하였는데, 꿈에 연꽃을 보고 잉태하여 태어난 딸로 태몽 때문에 묘화(妙花)라 이름했다고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무남독녀 묘화는 말을 못하는, 천성(天性)이 벙어리였다. 이로 인하여 구씨(仇氏) 내외는 그를 몹시 한스럽게 생각하였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이 소녀가 부처님 곁에 피었던 금단의 꽃인 연꽃을 꺾은 죄 값으로 이승의 벙어리가 되어 추방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묘화는 자랄수록 얼굴은 백옥 같고 자태는 연꽃 같으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인근 사람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비록 말은 못하나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착한 마음씨를 가진 선녀(仙女) 같은 묘화를 본 총각들은 앞을 다투어 청혼하였으나 묘화는 모두 거절하였다.
묘화의 나이 20세가 되던 어느 날 봄이 되었다. 먹적삼을 입고 걸망을 짊어진 수도스님 세 분이 경문을 외우면서 이 마을에 당도하여 구무원의 집에 이르렀다. 이들은 부설(浮雪) 영희(靈熙), 영조(靈照)라는 수도자(修道者)들이었다. 구무원(仇無寃)은 독실한 불교 신자로서 덕망이 높고 인심이 후하기로 소문이 나있어 수행승(修行僧)을 만나면 크게 환영하여 식사를 대접하고 쉬어 가게 하였다. 세 분 스님을 영접하여 사랑채에 모시고 중생이 불법에 들어가는 길에 대한 이야기며, 도를 닦던 덕담과 불교의 이치를 가르치는 설법을 듣기 소원하던 차에 세 수도승을 일시에 대면하게 되었으니 기쁨으로 음식물 대접하고 구무원과 세 수도승이 통성명을 하고 여러 날 걸어 강원도 오대산까지 가게 된 이야기며 법담으로 밤이 깊어만 갔다.

그 날 밤 구무원(仇無寃)의 안채에서는 큰 경사가 났다. 요조숙녀로 곱게 자랐으면서도 말을 못하던 묘화(妙花)가 느닷없이 말문이 터져 말을 하기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온 집안은 물론 마을 사람들도 이 소문을 듣고 모여들어 입을 모아 찬사를 아끼지 아니했다. 묘화는 말하기를 부설(浮雪) 스님과 소녀(少女)는 전생(前生)에도 인연(因緣)이 있었고, 금생(今生)에도 인연이 있으니 인과(因課)의 도리를 따르는 것이 바로 불법(佛法)이라 하면서 전생과 금생 그리고 후생의 삼생연분(三生緣分)을 이제야 만났으니 죽기를 맹세하고 부설스님을 남편으로 섬기겠다고 한바탕 이야기를 늘어놓자, 부모는 20여 년이란 세월을 말을 못하다가 말문이 터지게 된 것도 대견하지만 부처님의 진리(眞理)를 말함에는 입만 딱 벌리고 할 말을 잊을 수밖에 없었다. 더더욱 전생, 금생, 후생에서의 삼생연분(三生緣分)을 만났으니 부녀자로서의 도리를 다하겠다는 묘화(妙花)에게 감히 간섭하여 말릴 수조차 없었다. 부설(浮雪) 스님도 자작자수(自作自受=자기가 저지른 죄로 자기가 그 罪果를 받음)와 인(因)으로 하여금 과(果)가 따르는 법이며 자기를 만나기 위하여 생후 20년 간을 말을 안 했던 묘화(妙花)를 차마 어찌 할 수 없어서 두 불도의 길동무를작별하니 영희(靈熙), 영조(靈照) 두 스님은 오대산으로 공부를 하러 떠나가고 부설(浮雪) 스님은 거사라 자칭하고 묘화의 집에 머무르기로 하고, 묘화와 부설 .두 사람은 모든 마을 사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혼례식을 올렸다. 그 후 두 사람은 바로 이웃 마을인 고현리(古縣里=속칭 부서울) 월미산 아래에 새 보금자리를 마련했다. 고현리는 옛 현청 소재지로 널리 알려진 곳인데 백제시대에 무근촌현(武斤村縣)이라 칭하였고 신라시대에 와서 무읍(武邑)으로 개칭되었으며 고려시대에 와서 부윤현으로 또 다시 개칭되면서 만경현에 예속되었다가 폐현이 된 곳이다.

부설거사(浮雪居士)와 묘화부인(妙花婦人)은 어느덧 일남(一男) 일녀(一女)를 두었으니 아들은 등운(登雲)이요, 딸은 월명(月明)이었다. 남매가 성장하자 거사(居士)는 병(病)이 있다는 거짓 핑계로 서해(西海) 백강변(白江邊)에 초려(草麗=초가집)를 지으니 이 곳이 망해사(望海寺)이다. 부설은 이 곳에서 석가세존이 6년동안 한자리에 앉아 움직이지 않고 불경을 외웠음과 달마대사(達磨大師)가 9년동안이나 벽을 바라보고 앉아 참선했음을 본받아 심공을 잠수하던 중 어느 날 옛날 친우(親友)인 영희(靈熙), 영조(靈照) 두 대사(大師)가 참례를 마치고 두능 (杜陵=지금의 만경) 해안에 자리잡은 망해사를 찾아와 희롱적인 태도를 보이자 부설(浮雪)이 자리에서 일어나 "우리 3인의 공부의 서투름과 익숙함을 시험하여 보자"면서 처마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은 낙수병(落水甁) 3개를 처마에 높이 매어 달고 세 사람이 지팡이로 일시에 때리자고 하니 두 대사(영희, 영조)가 이에 응락하고 낙수병을 때리니 두 개의 병은 깨어지면서 물이 쏟아져 버렸다. 그러나, 부설거사가 때린 병은 깨어졌으나 물은 처마에 매달려 있었다고 한다. 또 부설거사와 결혼한 구묘화(仇妙花)는 환하게 밝은 대낮에 바람과 구름으로 조화를 부려 때 아닌 비와 눈을 내리게 하였고, 그 비 한 방울이나 눈 한 조각도 땅에 떨어지지 않게 하는 신통한 도술을 보였다고 한다. 이 때 부설거사는 두 대사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영광독로(靈光獨露) 형탈근진(適脫根塵) 체로진상(體露眞常) 불구생멸(不拘生滅) 환신수생멸천유자(幻身隋生滅遷流者) 사병지파쇄(似擺之破碎) 진성본영명상주자(眞性本靈明常住者) 여수지현공(如水之縣空) 공등편참지식(公等遍參知識) 구력총임(久歷叢林) 기불섭생멸위진상(豈不攝生滅爲眞常) 공환화수법성호(空幻化守法性乎) 욕험내업자유불자유(欲驗來業自由不自由) 편지상심평등불평등(便知常心平等不平等) 금기불연(今旣不然) 낭일반수지게(錐日返水之戒) 안재(安在) 쌍행지서(蠻行之誓) 막이 (辣矣)」

  (주(讀)∼신령스러운 빛이 홀로 나타나니 뿌리와 티끌을 멀리 벗어버리고 몸에 본성의 진상이 삶과 죽음을 따라서 옮겨 흐르는 것은 병이 깨어져 부서지는 것과 같으며 진성은 본래 신통하고 영묘하여 밝음이 항상 머물러 있는 것은 물이 공중에 매달려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대들이 두루 높은 지식있는 이를 찾아 보았고 오랫동안 총림(叢林=사찰)에서 세월을 보냈는데 어찌하여 생(生)과 멸(滅)을 자비심으로 돌보고 보호하며 진상(眞常)을 삼고 환화(幻化)를 공(空)으로 하여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을 지키지 못하는가. 다가오는 업(業)에 자유가 없음을 증험하고자 하니 상심(常心)이 평등(平等)한가 평등(平等)하지 못한가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이미 그러하지 못하니 지난 날의 엎질러진 물을 다시 담자는 경계는 어디로 갔다는 것이며 함께하라는 맹세는 아득히 멀구나‥‥‥)

이러한 부설거사의 언행에 영희, 영조 두 대사는 부설 앞에 예배하고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의 본래 타고난 본성을 깨달았음을 흠모하고 법설을 청하였다고 한다.

그 후 부설거사와 묘화부인은 등운(登雲)과 월명(月明) 두 자녀에게 출가하여 승려가 되게 하고 두 자녀를 위하여 지금의 변산(邊山)에 있는 등운암(登雲庵)과 월명암(月明庵)을 지었으니. 부설과 묘화의 유적(遺蹟)이라 하겠다.

그리고 현재 성덕면(聖德面)의 고현리(古縣里=부서울) 마을과 묘화리(妙花里)는 옛날 부설거사와 묘화부인으로 인하여 불러진 마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또한 부설거사는 거사가 창건하였다는 인적이 뜸한 소암(小庵) 망해사(望海寺)에서 임종하면서 읊은 게송(偈頌=부처의 공덕을 찬양하는 노래)이 다음과 같이 전해지고 있다.

   「목무소견무분별(目無所見無分別)
      이청무성절시비(耳聽無聲絶是非)
      분별시비도방하(分別是非都故下)
      단관심불자귀의(但看心佛自歸依)」
 
「주(註)∼눈으로 보는 바가 없으니 분별할 것이 없고, 귀에 소리없는 소식 들으니 시비가 끊인다. 분별과 시비를 모두 놓아 버리고, 단지 마음의 부처를 보았으니 심불에 돌아가 의지하겠노라.」

    이 외에도 부설거사에 관한 시 몇 수를 소개한다.

    ■ 團 浮 詩 - 浮雪居士 -

        妻子眷屬森如竹 金銀玉帛積如丘
        臨終獨自弧魂逝 思量也是虛浮浮
        朝朝役役紅塵路 爵位朧高已白頭
        閻王不伯佩金魚 思量也是虛浮浮

        사랑하는 처자권속 빽빽이 둘러 있고,
        金銀玉帛 보배들이 山같이 쌓였어도,
        죽을 땐 다 버리고 외로운 넋만 돌아가니,
        생각하면 모든 것이 부질 없을레.

        날마다 번거로이 世上事에 바쁘고,
        벼슬이 드높아도 人生 한번 늙어지면,
        紫金魚袋 두려찮고 闖羅王이 오라시니,
        생각하면 모든 것이 부질 없을레.
        錦心繡ㅁ風雷崙 千首詩經萬戶侯
        增長多生人我本 思量也是虛浮浮
        假使說法如雲雨 感得天德石點頭
        乾慧未能免生死 恩量也是虛浮浮

        비단결같은 고운 생각, 천등 번개 몰아치는 말 솜씨와
        一千首의 誇支章에 萬戶侯의 높은 벼슬
        人我의 迷妄만이 多生토록 더욱 느니,
        생각하면 모든 것이 부질 없을레 .

        부처님의 法을 說해 恩澤이 단비같고,
        하늘꽃이 쏟아지고 돌도 머릴 끄덕여도,
        實劾없는 智慧로서 生死超脫 못하면은
        생각하면 모든 것이 부질 없을레.
        ■ 八 竹 請

        此竹彼竹化去竹 風打之竹浪打竹
        粥粥飯領生比竹 是是非非看彼竹
        賓客接侍家勢竹 市井賣買歲月竹
        萬事不如吾心竹 然然然世過然竹

        이런대로 저런대로 되어 가는대로
        바람부는대로 물결치는대로
        죽이면 죽, 밥이면 밥, 이런대로 살고
        옳으면 옳고 그르면 그르고 저런대로 보고
        손님 접대는 집안 형편대로
        시장 물건 사고 파는 것은 시세대로
        세상만사 내맘대로 되지 않아도
        그렇고 그런 세상 그런대로 보네.
        ■繼 吟

        共把寂空雙去法 同捷雲鶴一間庵
        已知不二歸無二 誰問前三與後三
        閑看庭中范艶艶 任聆窓外鳥哺晴
        能令直入如來地 何用區區久歷參

        그대와 함께 적적한 蹇으로 법을 삼아서
        구름과 학을 데불고서 함께 지냈네.
        미 둘이 아닌 것이 둘이랄 것조차 없음인 줄 알았으니
        前三三 徨三三을 누구와 함께 논할건가?
        한가히 뜨락을 바라보니 꽃은 한창 피어 웃고
        무심히 창가에 지저귀는 새소리를 들었노라
        곧장 여래지를 찾아 들 수 있올진대
        어찌 구구하게 오랜 세월 참구하랴?

        ■和 韻

        悟從平等行無等 覺契無緣度有緣
        處世任眞心廣矣 건家成道體脾然
        圖珠握掌丹靑別 明鏡當臺胡漢縣
        認得色聲無臺碍 不須山谷坐長連

        깨달음은 평등하게 깨닫고, 수행은 더할 .나위 없이 행하고
        깨달음은 인연없는 데에 계합하고 제도는 인연있는 데서
        할지로다.
        진리에 몸을 맡기고 처세하니, 마음이 너그러워지고
        집에 머물며 도를 이루니 몸이 실팍하는도다.
        등근 구슬을 손에 쥐니, 붉고 푸른 빛을 분별하고
        밝은 거을 앞에 나서 서니, 진(眞)과 가(假)가 뚜렷하도다.
        色과 聲에 걸릴 것이 바이 없으니,
        굳이 깊은 산골에서 오래 앉을 것이 없을레라.

목록